본문 바로가기

일상 것들

210429 편집스터디 마치다

선배와 매주 한 번씩 하던 편집 스터디가 끝났다. 지난해 12월 16일부터 오늘인 올해 4월 29일까지 매주 목요일 오전 선배와 함께하던 스터디(라고 쓰고 수업이라 읽는다)가 마무리됐다. 지금껏 해온 내 지면의 레이아웃을 돌아보고, 한주 간의 결과물에 대해서 피드백을 받는 시간이었다. 아쉬운 점을 새롭게 고쳐서 새 지면을 짜보기도 했다. 중간에 거른 주도 있긴 하지만 다섯 달 동안 총 열여섯 번의 수업을 했다.

 

"제목도 어려운데, 레이아웃은 더 모르겠어요."

신문 편집은 크게 제목과 레이아웃으로 구성된다. 기사의 핵심과 의미를 담아낸 제목과 이를 독자에게 잘 전달할 수 있는 레이아웃으로 지면이 꾸려진다고 보면된다. 기사의 내용이나 의미를 짚어내는 것도 쉽지 않지만, 내겐 레이아웃이 더 막막했다. 뭔가 시각적 아이디어 하나로 풀어나가면 될 것 같은데, 그 아이디어를 어떻게 떠올려야 할지도 감이 잘 잡히지 않았기 때문이다. 사실 '시각적 아이디어'를 이용해 풀어나갈 수 있다는 생각조차 그전까지는 해본 적이 없다. 채워야 할 지면이 부담스럽기만 했지. '레이아웃은 '감각'이 필요한데, 내겐 그게 없어서 어쩔 수 없는 건 아닐까'라며 있는지 없는지도 모를 감각 핑계를 댈 뿐이었다.

 

선배와 함께한 열여섯번의 스터디에서 가장 크게 배운 건 '태도'였다. 레이아웃은 막연히 어렵다, 내가 잘할 수 없다는 막연한 포기를 버리는 것만으로도 내 결과물들이 이전에 비해 조금은 달라졌다고 생각한다. 강 약 중강 약을 살려서 지면의 균형과 리듬감을 살리고, 선과 색을 이용해 정리하는 법 등을 배웠다. 그리드를 이용해 시각적으로 편안한 구성을 하는 법도 듣고 보니 괜히 제작기에 그리드가 있는 게 아니구나 싶더라. 난 그 짧은 시간 일을 하면서 왜 내가하는 일에 더 진지하지 못하고, 생각 없이 일을 했던 걸까. 스스로를 되돌아보게 됐다. 실무적인 팁도 팁이지만 나보다 10년 앞서 같은 길을 먼저 걷고 있는 선배가 자신의 일에 진심인 태도, 질리지 않고 여전히 매 순간 새로운 걸 시도하려고 하는 그 태도가 무엇보다 큰 자극이 됐다.

 

"(잘하고 싶은데) 잘 못해서 배우고 싶어요"

좌절 속에서 툭 내뱉은 그 말을 놓치지 않고, 먼저 같이 공부해보겠냐며 제안해준 선배가 너무 고맙다. 나는 그런 선배가 될 수 있을까. 후배가 흘리듯 내뱉은 진심을 챙겨 듣고 함께 고민해줄 수 있는 섬세함을 지닐 수 있을까. 노하우를 후배에게 잘 전달해줄 수 있을 정도로 자신의 일을 잘 꿰뚫고 있을 수 있을까. 선배와의 스터디를 통해 좋은 레이아웃에 대한 고민과 더불어 좋은 선배가 되는 일에 대해 생각해보게됐다. 아직은 후배가 없지만, 언젠가 내게도 후배가 생긴다면 그때의 나도 섬세하고 다정한 선배이고 싶다.

선배가 선물해준 책. <Newspaper Design> "신문은 여전히 굴러가며, 인쇄물이 여기 남아 있다는 걸 인정한다"는 편집자의 말에 괜히 울컥했다.

 

"오늘로 졸업이야, 그렇지만 앞으로도 궁금한 건 물어보고."
선배는 신문 레이아웃에 관한 책을 선물해주면서 스터디를 마쳤다. 이렇게 끝날 줄 몰랐는데, 기약 없이 선배와 해오던 스터디가 끝난다는 게 시원섭섭하다. 일을 하며 성장하고 있다는 감각을 느끼는 건 중요하다. 성장을 통해 일하는 존재로서의 내가 더 단단해지기 때문이다. 일하는 존재로서의 내가 흔들리는 순간 잡아주고 같이 걸어주는 동료가 있다는 데 감사하다. 좋은 결과물로 그 선의에 보답하고 싶다.